[Ubuntu] 시간대 변경 (UTC -> KST)

[Ubuntu] 시간대 변경 (UTC -> KST)
Photo by Gabriel Heinzer / Unsplash

A. 사용환경

  • OS : Ubuntu 22.04

B. 시작하기 전에..

집에서 굴러다니던 미니PC 하나가 있었는데, MS 윈도우를 쓰기엔 사양이 버거워졌다.

업무환경이 MS 윈도우가 반드시 필요해서 업무PC를 리눅스로 전환할 수는 없고, Hyper-V에 리눅스 가상머신으로는 뭔가 불편해서 그런지 익숙치 않아서 그런건지 잘 활용이 되지 않더라.

그래서 Ubuntu Server를 Minimal로 설치해서 이것저것 셋팅하고 있다. 오래만에 리눅스 서버를 셋팅하다보니 파일시스템부터 명령어까지 바뀐게 너무 많아서 공부할게 많더라..(어차피 나에겐 구글 검색이 있다!)

예전에도 리눅스 관련 공부를 할 때, 공부했던 내용을 간단하게라도 블로그에 포스트로 작성하면서 도움이 됬어서 기록 & 공부차 작성한다.

C. 현재 시간대 확인

우분투 서버(non GUI)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시간대는 UTC (UTC+0)더라.(설치할 때 시간대 설정을 안했나..?)

$ timedatectl
               Local time: Fri 2023-03-24 07:28:18 UTC
           Universal time: Fri 2023-03-24 07:28:18 UTC
                 RTC time: Fri 2023-03-24 07:28:18
                Time zone: Etc/UTC (UTC, +0000)
System clock synchronized: yes
              NTP service: active
          RTC in local TZ: no
$

확인하는 명령어는 timedatectl이다.

우리는 UTC(협정 세계시, 그리니치 천문대 기준)보다 9시간 빠른 UTC+9이고, KST(Korean Standard Time)라고도 부른다.

D. 시간대 명칭확인

timedatectl 명령어의 list-timezones 옵션을 이용해서 사용가능한 시간대 중에 Seoul이 있는지 확인해보자.

$ timedatectl list-timezones | grep Seoul
Asia/Seoul
$

시간대 명칭을 확인했으니 시간대를 변경해보자.

E. 시간대 변경

$ sudo timedatectl set-timezone Asia/Seoul

위의 명령어를 이용해서 시간대를 서울로 변경한다. 그리고 다시 timedatectl 명령어를 이용해서 변경된 시간대를 확인한다.

$ timedatectl
               Local time: Fri 2023-03-24 16:29:47 KST
           Universal time: Fri 2023-03-24 07:29:47 UTC
                 RTC time: Fri 2023-03-24 07:29:47
                Time zone: Asia/Seoul (KST, +0900)
System clock synchronized: yes
              NTP service: active
          RTC in local TZ: no
$

이제 해당 서버는 KST로 동작한다!

F. 마치면서..

예전에 한참 우분투를 메인 OS(아마도... 17.04정도??)로 사용할 때와는 많은 변화가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이것저것 공부할 게 생각보다 많을 것 같다. 오랜만에... 재미있네!

본 포스트는 ghost로 구축하기 전에 잠시 사용했던 velog의 포스트를 이전했다.

Read more

[Oracle] DB계정 생성 시 참고사항

[Oracle] DB계정 생성 시 참고사항

사용환경 * Oracle DBMS : 19c (19.3) A. 시작하기 전에.. 최근에 몇 개의 DB서버를 셋팅하면서 DB계정을 생성할 일이 많이 있었는데 루틴하게 수행하던 쿼리에 약간 의문이 생겨서 몇 가지 테스트를 해봤다. 그 내용을 잘 기억하기 위해서 정리해서 적어본다.(누군가한테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실제론... 이렇게 블로그 포스트로 만들다보면 결국 내 기억에 각인이

By simplism
[Linux] Mariadb Docker container 설치

[Linux] Mariadb Docker container 설치

A. 사용환경 * OS : Rocky Linux 9.5 (Blue Onyx) * Docker : 28.0.4 * Portainer : 2.27.3 LTS B. 시작하기 전에... 어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더라도 보통 Database는 거의 필수로 필요한 편이다.(요즘엔 SQLite도 많이써서... DB서버가 없어도 되긴하지만 어쨌든!) 업무적으로 사용할 소프트웨어들을 몇개 검토해봤는데, 대부분이 MySQL, Mariadb, PostgreSQL이더라. 일단, 바로 설치해서 사용해볼

By simplism
[Linux] Docker에 Portainer 설치

[Linux] Docker에 Portainer 설치

A. 사용환경 * OS : Rocky Linux 9.5 (Blue Onyx) * Docker : 28.0.4 B. Portainer란? docker를 사용할 때 명령어 기반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여전히 GUI는 필요하다.(ㅎㅎ) Portainer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docker 관리소프트웨어(웹기반)정도로 이해해도 된다. Portainer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면 기능이 아주 많은 것 같은데... 사실 나의 경우에는 아주 단순한 기능만

By simplism